📖교육과정&평가

2022 개정 교육과정 - 수업 설계와 수업 디자인의 차이점

더나은채쌤 2025. 2. 4. 23:27

 

 

언젠가부터 '수업 디자인'이란 말을 교육계에서 자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22개정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수업 설계'와 '수업 디자인'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2022개정 교육과정 중점사항을 알아보자.

 


1. 개념적 차이

수업 설계 (Lesson Planning)

  • 거시적 관점에서 수업의 구조와 흐름을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과정
  • 교육과정의 목표, 성취 기준, 학습자의 특성, 평가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 교육과정 중심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
  • 교사의 교수 전략, 학습 활동, 평가 방식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

수업 디자인 (Lesson Design)

  • 수업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창의적 과정
  • 학습자의 흥미와 몰입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자료, 활동, 시각적 요소 등을 설계
  •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활동, 문제 해결형 학습, 프로젝트형 학습 등의 방식을 적용
  • 수업 경험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것인지에 초점

 

 


 

2.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차이점

 

📌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맞춤형 교육'과 '미래 역량 강화'를 강조하며, 이를 반영하면 두 개념의 차이는 더욱 명확해집니다.

  수업 설계 수업 디자인
초점 교육과정 기반 학습 목표, 평가 방법 설정 학습자의 경험을 고려한 구체적 수업 진행 방식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 - 성취기준과 학습 요소를 고려하여 수업 목표를 설정
- 핵심역량(창의성·비판적 사고 등)을 반영한 수업 계획
- 놀이·프로젝트·융합 수업 등 다양한 수업 방법 설계
- 학생 주도 학습(협력학습, 토론, 탐구 등) 강화
학습자 역할 성취 목표에 맞춰 학습 활동 중심의 몰입과 참여 유도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과 평가 기준을 고려한 수업 기획자 학습 경험을 디자인하는 촉진자

 

 

 


 

3. 예시

 

수업 설계 예시
"초등학교 5학년 사회 수업에서 ‘우리 지역의 발전 과정’을 학습 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맞는 성취 기준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기획함. 평가 방식은 수행평가와 발표 평가를 병행함."

 

수업 디자인 예시
"학생들이 직접 지역의 옛날 사진과 현재 사진을 비교하여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모둠별로 ‘미래 지역 발전 계획’ 포스터를 제작하여 발표하는 활동을 설계함."

 


 

4. 결론

  • 수업 설계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 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거시적 계획 과정
  • 수업 디자인은 학생들의 몰입과 경험을 중심으로 수업을 구체적으로 구성하는 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 '참여 중심 수업'이 강조되므로, 단순한 지식 전달보다는 학생 주도적인 수업 디자인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