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부터 '수업 디자인'이란 말을 교육계에서 자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22개정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수업 설계'와 '수업 디자인'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2022개정 교육과정 중점사항을 알아보자.
1. 개념적 차이
✅ 수업 설계 (Lesson Planning)
- 거시적 관점에서 수업의 구조와 흐름을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과정
- 교육과정의 목표, 성취 기준, 학습자의 특성, 평가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 교육과정 중심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
- 교사의 교수 전략, 학습 활동, 평가 방식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
✅ 수업 디자인 (Lesson Design)
- 수업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창의적 과정
- 학습자의 흥미와 몰입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자료, 활동, 시각적 요소 등을 설계
-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활동, 문제 해결형 학습, 프로젝트형 학습 등의 방식을 적용
- 수업 경험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것인지에 초점
2.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차이점
📌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맞춤형 교육'과 '미래 역량 강화'를 강조하며, 이를 반영하면 두 개념의 차이는 더욱 명확해집니다.
수업 설계 | 수업 디자인 | |
초점 | 교육과정 기반 학습 목표, 평가 방법 설정 | 학습자의 경험을 고려한 구체적 수업 진행 방식 |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 | - 성취기준과 학습 요소를 고려하여 수업 목표를 설정 - 핵심역량(창의성·비판적 사고 등)을 반영한 수업 계획 |
- 놀이·프로젝트·융합 수업 등 다양한 수업 방법 설계 - 학생 주도 학습(협력학습, 토론, 탐구 등) 강화 |
학습자 역할 | 성취 목표에 맞춰 학습 | 활동 중심의 몰입과 참여 유도 |
교사의 역할 | 교육과정과 평가 기준을 고려한 수업 기획자 | 학습 경험을 디자인하는 촉진자 |
3. 예시
✔ 수업 설계 예시
"초등학교 5학년 사회 수업에서 ‘우리 지역의 발전 과정’을 학습 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맞는 성취 기준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기획함. 평가 방식은 수행평가와 발표 평가를 병행함."
✔ 수업 디자인 예시
"학생들이 직접 지역의 옛날 사진과 현재 사진을 비교하여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모둠별로 ‘미래 지역 발전 계획’ 포스터를 제작하여 발표하는 활동을 설계함."
4. 결론
- 수업 설계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 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거시적 계획 과정
- 수업 디자인은 학생들의 몰입과 경험을 중심으로 수업을 구체적으로 구성하는 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 '참여 중심 수업'이 강조되므로, 단순한 지식 전달보다는 학생 주도적인 수업 디자인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교육과정&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개정 교육과정 - '장점'과 '강점' 구분하기 (0) | 2025.02.04 |
---|